콘탁스의 향기! 애증의 클래식 필름카메라 키예프4M

클래식 필름카메라에 관심이 있다면 한 번쯤은 "키예프(Kiev)"라는 이름을 들어봤을 듯합니다. 굉장히 클래식하게 생긴 디자인으로 구소련 시대 우크라이나의 수도였던 키예프에서 생산되었고, 콘탁스의 DNA를 그대로 물려받은 카메라라고 하지만 독일에서 생산된 콘탁스의 모델들과는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특히 키예프 4M은 그중에서도 유독 흥미로운 이야기를 품고 있는 카메라입니다. 파란만장한 역사와 기술의 교차점에서 탄생하였지만, 애증의 필름카메라이기도 합니다. 콘탁스의 향기! 키예프 4M 키예프는 독일의 콘탁스(Contax)를 빼놓으면 존재 이유 자체가 희미해질 것입니다. 제2차 세계대전 종전 후 소련은 독일이 보유한 엄청난 기술적 전리품을 손에 넣었습니다. 독일 광학 기술의 정수라 할 수 있는 콘탁스 카메라의 생산 설비와 도면, 심지어 엔지니어들까지 포함되어 있었죠. 독일 드레스덴의 콘탁스 공장 설비는 우크라이나의 아르세날(Arsenal) 공장으로 옮겨졌고, 그곳에서 콘탁스 III의 DNA를 고스란히 물려받은 새로운 카메라가 탄생했습니다. 이것이 바로 키예프 시리즈의 시작입니다. 4M은 그중에서도 후기형 모델로, 콘탁스의 정교한 기계식 셔터, 독특한 이중 베이오넷 렌즈 마운트, 그리고 넓은 베이스의 연동 거리계까지 모든 것을 계승했습니다. 공장만 옮겼을 뿐 독일 기술자들과 설비는 어느 정도 그대로였기에 콘탁스 카메라의 키예프 생산 모델인 셈이었죠. "핏줄은 속일 수 없다"는 말이 딱 들어맞을 정도로 초기에 생산된 모델은 독일 콘탁스의 기계적 완성도와 정밀도를 그대로 구현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생산 비용 절감과 느슨한 품질 관리로 인해 개체별 편차가 심해졌다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어떤 키예프 4M은 셔터막이 뻑뻑하거나 셔터 속도에 오차가 발생하고, 내장된 셀레늄 노출계는 부정확한 경우가 태반입니다. 마치 러시안 룰렛 게임처럼 '뽑기 운'이라는 말이 생길 정도로 편차가 심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입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