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포토스토리인 게시물 표시

입문자를 위한 필름카메라 기초 사용법

이미지
 필름카메라의 감성에 호기심을 느껴서 무작성 카메라부터 구입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셔터만 누르면 사진이 나오는 스마트폰이나 디지털카메라와 달리 필름카메라를 사용하려면 기본적인 사용방법과 사진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이해하는 게 필요합니다. 처음 필름카메라를 접하면 뭔가 복잡해 보이지만, 한 번 익숙해지면 생각보다 단순하기에 어렵지 않게 필름사진의 감성은 즐길 수가 있습니다.  1. 필름 고르기 필름카메라의 출발은 필름 선택에서부터 시작합니다. 사진의 분위기나 느낌은 카메라가 아닌 카메라 렌즈와 필름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본인의 취향에 맞는 필름을 구매하는게 좋습니다. 이제 막 필름카메라를 시작하는 과정이라면  코닥 골드 200이나 코닥 컬러플러스 200으로 구매하면 됩니다. 가장 저렴하고 일반적인 환경에서 무난하게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필름은 감도 200과 36장 짜리를 많이 사용합니다. 필름은 24장과 36장짜리가 판매되지만, 가격 차이가 크지 않기게 36장짜리 필름으로 구매합니다. 필름박스에 쓰여진 ISO 200, ISO 400, 800은 필름의 감도를 숫자로 적은 것입니다. ISO 숫자가 높을수록 어두운 곳에서도 촬영이 가능하지만 사진의 입자가 굵어지게 됩니다(노이즈). 반대로 숫자가 낮아지면 선명하고 깨끗한 사진을 얻게 되지만, 어두운 곳에서는 플래시를 사용해야 합니다.   ISO 100~200은 햇빛이 좋은 날이나 실외 촬영에 적당하고, 예식장이나 실내 카페는  ISO 400, 조명이 약한 카페나 실내라면 800-1600 정도를 사용합니다. 물론 플래시가 있다면  ISO 200으로도 충분히 촬영이 가능합니다.  2. 필름 넣기 필름이라는 것은 원기둥 형태의 매거진과 얇은 플라스틱에 약품처리가 되어 있는 필름으로 구성이 됩니다. 필름이 매거진속에 말려 있기에 롤필름이라고 하고, 매거진속에 있는 동안에는 필름이 빛에 노출이 되어도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매거진...

핫셀블라드에 인스탁스 필름백으로 사진을 찍어보자!

이미지
"기존 필름카메라를 유지하면서 인스탁스 필름으로 즉석 사진을 찍을 수 있다!" 핫셀블라드는 모듈형식의 120mm 중형필름을 사용하는 필름카메라이고, 120 필름백 대신에 여러 가지 백을 연결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이 가능한 카메라입니다. 대표적인게 디지털백과  폴라로이드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필름백을 활용한다면 조금 더 다양한 창작활동이 가능하면서 시각적 경험을 가능하게 해 줍니다. 그중에서 폴리로이드 백은 대부분의 중형 필름카메라(할셀의 경우 V 시스템 등)에 장착할 수 있는 즉석 필름용 백을 말합니다. 보통 핫셀블라드는 120 필름(롤필름)을 사용하는데, 이 폴라로이드 백을 장착하면 롤필름 대신 폴라로이드 필름을 사용해서 바로바로 사진 결과물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핫셀블라드 500C/M에 인스탁스 논스백을 장착하면 새로운 감성의 사진을 찍을 수 있습니다. 주로 중형필름카메라의 악세사리로 사용을 했던 폴라로이드 백은 디지털이 없던 시절에, 사진가들이 촬영 후 바로 결과물을 뽑아서 라이팅과 노출, 구도, 전체적인 사진의 느낌을 테스트할 때 아주 중요한 도구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폴라로이드 백을 사용하는 이유 핫셀블라드 V시스템에 사용하던 폴라백은  V시스템(500C/M, 503CW 등) 카메라에 맞춰져 있으며 연결부가 표준 핫셀블라드 필름백과 똑같아서 쉽게 교체가 가능합니다. 마치 필름을 교체하듯이 기존 롤필름백을 제거하고 폴라로이드백을 체결하면 간단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당시에는 폴라로이드사의 Type 100 시리즈 필름(예: Polaroid 669, Fuji FP-100C 등)을 사용했으며, 준수한 결과물을 출력해 주었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이 필름들이 단종되면서 중고 필름을 구해서...

작지만 강한 명품 카메라 올림푸스

이미지
작고 콤팩트한 필름카메라, 올림푸스를 아시나요? 올림푸스는 1919년 일본 도쿄에서 내시경 및 정밀 광학 기기 전문 기업으로 시작했습니다. 광학의 명가로 불리며 의료기기 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술력을 확보했고, 이를 바탕으로 1936년 일본 최초의 고급 카메라 세미 올림푸스를 출시하면서 사진 산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듭니다. 1950~60년대에는 PEN 시리즈, 1970년대에는 OM 시리즈, 1980년대에는 콤팩트 필름카메라 XA 시리즈 등으로 대중성과 기술력을 동시에 인정받으면서 "작지만 강한 카메라"라는 브랜드 이미지를 확립하게 됩니다. 올림푸스의 철학 – 작고 가볍우면서 완벽하게 올림푸스는 컴팩트화, 경량화, 고정밀을 핵심 철학으로 삼고 있습니다. 특히 다른 브랜드들이 무겁고 커다란 SLR(일안 리플렉스) 카메라를 경쟁적으로 출시하던 시대에도, 올림푸스는 작고 효율적인 디자인에 집중했습니다. OM 시리즈는 세계에서 가장 작고 가벼운 35mm SLR 시스템을 목표로 개발되었고, PEN 시리즈는 하프프레임 포맷을 통해 사진을 ‘2배로’ 찍을 수 있는 효율성을 보여주었습니다. 올림푸스는 "누구나 부담 없이 들고 다니며 사진을 즐길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을 꾸준히 지켜온 브랜드입니다. 올림푸스 모델중에서도 획기적인 디자인과 기능을 자랑하는 Olympus Pen FT 올림푸스 카메라의 장점과 단점 올림푸스 필름카메라의 가장 큰 특징이자 장점은 작고 가볍다는 것입니다. 작고 콤팩트하면서도 세련된 미니멀한 디자인으로 여행용이나 일상생활에서 스냅용으로 최적의 카메라입니다. 올림푸스 Pen ee의 경우 10Cm 정도의 작은 크기로 70~90년대 수학여행 카메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뛰어난 바디의 완성도에 Zuiko(즈이코) 렌즈만의  뛰어난 해상력과 발색은 모든 이용자가 만족하는 사진의 결과물을 보장해 줍니다.  장점이 많은 올림푸스였지만, XA 시리즈 등의 후기 모델들에게서 고장이 잦은 편이었고 부품 생산이 종료되면서 일부 모델은 수리가...

대중문화가 낳은 팝아트와 필름카메라의 만남

이미지
팝아트(Pop Art)는 1950년대 후반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등장한 현대미술의 한 사조로, "대중문화의 예술화"라는 개념 아래에서 발전했습니다. 기존의 순수미술이 추구했던 고급 예술과는 달리, 광고, 만화, 영화, 제품 포장 등 대중이 소비하는 이미지를 그대로 끌어들여 예술의 소재로 삼은 것이 특징입니다. 앤디 워홀(Andy Warhol), 로이 리히텐슈타인(Roy Lichtenstein), 리처드 해밀턴(Richard Hamilton) 등은 팝아트의 대표적인 작가들로 실크스크린 기법이나 대량생산 방식을 통해 반복성과 소비, 이미지의 복제를 주요 주제로 삼았습니다. 이들은 예술의 경계를 허물고 대중과 더 가까이 호흡하려는 시도를 예술에 담아내고 있습니다.  앤디 워홀이 사랑했던 폴라로이드 SX-70과 낸 골딘의 니콘EF 필름카메라와 팝아트, 시대정신을 담다 팝아트와 필름카메라는 겉보기에는 다른 영역처럼 보이지만, 20세기 중반이라는 같은 시대적 배경을 공유하며 깊은 관련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특히 팝아트가 등장하던 시기는 컬러 필름카메라의 대중화가 시작되던 시기로 시각문화의 대중화가 이루어지던 시점입니다. 필름카메라는 단순히 이미지를 기록하는 도구에서 "일상의 미학"을 포착하고 표현하는 매체로써 팝아트와 마찬가지로 대중적 소재와 접근 방식을 특징으로 합니다. 팝아트 작가들은 필름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를 캔버스에서 재가공하거나 광고사진과 유명 인물 사진을 그대로 차용해 자신의 작품에 담게 됩니다.  누구나 한 번쯤은 봤을거 같은 앤디 워홀의 대표작 마릴린 먼로(Marilyn Monroe)는 직접 필름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를 실크스크린 작업 과정을 통해 메릴린 먼로를 반복적으로 복제한 이미지 작품입니다. 이러한 점에서 필름카메라는 팝아트의 "복제"라는 미학적 개념을 실현시켜 주는 필수적 도구로 활용되었습니다. 팝아티스트가 애용한 필름카메라 아티스트들은 자신의 미학과 표현 방식에 최...

해리포터 영화와 빈티지 감성의 만남 Argus C3의 매력

이미지
 Argus C3! "해리포터 카메라"로 알려진 전설적인 빈티지 카메라 빈티지 카메라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Argus C3는 단순히 오래된 필름카메라 그 이상의 의미가 있는 카메라입니다. 바로 해리포터 영화 시리즈에서 "콜린 크리비(Colin Creevey)"가 사용하는 마법사진기로 등장해 팬들에게는 해리포터 카메라로 알려지면서 중고마켓뿐 아니라 디자인적인 독창성으로 수집과 장식용으로 인기 있는 카메라입니다. 해리포터 속 카메라로서의 등장과 의미 해리포터 시리즈에서 Argus C3는 2학년 콜린 크리비가 들고 다니는 마법사진기로 등장합니다. 그는 해리의 사진을 찍으며 팬심을 드러내는 순수한 캐릭터로, 사진을 통해 마법 세계를 기록하려는 의지가 돋보이는 캐릭터입니다  영화에선 필름 사진이 움직이는 듯한 연출이 Argus C3의 아날로그 특성과 절묘하게 어우러지면서 마법 세계와 현실 세계를 연결하는 장치처럼 작용합니다. 이 카메라는 단순한 소품이 아닌, 콜린의 성격과 시선을 보여주는 도구로서 감정적, 서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마법의 세계와 현실세계를 이어주는 마법과과 같은 필름카메라 Argus C3 Argus C3는 당시 저렴하면서도 대량생산이 가능했던 카메라로, 20세기 중반 미국 중산층 가정에서 주로 사용했던 모델입니다. 해리포터의 시대 배경과는 다소 어긋날 수도 있지만, 디자인적 상징성과 빈티지함이 판타지 세계의 소품으로써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Argus C3 스펙 Argus C3의 가장 큰 특징이라면 누구도 흉내낼 수 없는 독특한 디지인입니다. 두꺼운 사각형의 기본 프레임을 사용하고 무겁고 단단한 외형 때문에 "벽돌 카메라(The Brick)"라는 애칭이 붙어 있습니다.  제조사: Argus Inc. (미국) 출시연도: 1939년 ~ 1966년까지 생산 포맷: 35mm 필름 렌즈: Cintar 50mm f/3.5 고정식 렌즈 (교체 가능) 셔터 속도: 1/10 ~ 1/3...

일회용 필름카메라로 실패하지 않는 인생사진 촬영법

이미지
일회용 필름카메라는 이름 그대로 한 번만 사용 가능한 카메라입니다. 새로운 필름을 넣거나 재사용이 어렵기에 처음 구입 시에 카메라 내부에 필름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촬영이 끝나면 되감기를 하지 않고 카메라 전체를 전문 현상소에 맡겨 현상해야 합니다. 디지털 사진과 달리 즉시 결과를 확인할 수 없지만, 그 "기다림"의 시간이 낭만으로 여겨지거나 재 사용이 안된다는 점이 일회용 카메라의 매력입니다. 일회용 카메라의 특징 20-40년 전에는 카메라를 갖고 있는 사람이 많지 않았습니다. 행사나 모임 그리고 여행시에 카메라를 구매하기는 경제적으로 많은 부담이 되었기에  간단하게 일회용 카메라를 많이 사용했습니다. 그런 추억들이 아직까지 일회용 카메라가 판매되고 있는 이유일 듯합니다. 요즘은 일회용처럼 생겼지만 재충전 가능한 필름 카메라도 등장하고 있어, 친환경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일회용 카메라는 적당한 촬영환경과 플래시를 활용해야만 좋은 사진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일회용 카메라는 단기간 사용을 전제로 제작된 제품이기 때문에, 전문 카메라에 비해 구조는 단순하고 내구성의 문제가 어느 정도 존재하고 있습니다.  바디 전체가 플라스틱이기 때문에 무게가 가볍고, 휴대성은 좋지만, 와인딩이나 셔터 작동이  부드럽지 않거나 반복 사용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장시간 보관 시에는 고온, 고습 환경을 피해야 하며, 특히 플래시 회로가 있는 모델은 배터리 누액 가능성도 있으므로 구매후에는 빠른 시간 내에 촬영하고 현상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1) 간편한 사용법 필름을 넣을  필요가 없고, 셔터와 필름 감기(와인더)버튼 그리고 플래시 버튼 정도만 있기에 조작이 매우 쉽습니다. 사진을 처음 접하는 사람도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밝기나 화이트 밸런스를 자동으로 맞추지 않기 때문에, 때때로...

따뜻한 감성과 실용성의 야시카 카메라

이미지
디지털 시대와 스마트폰이 대중화된 이후에도 필름카메라는 여전히 많은 사람들의 감성을 자극하면서 계속해서 필름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많은 카메라 브랜드 중에서도 야시카(Yashica)는 합리적인 가격과 가성비가 뛰어난 성능, 독창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모델로 사랑을 받아온 브랜드입니다. 야시카 필름카메라의 역사와 야시카 렌즈와 광학 성능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야시카의 역사 야시카(Yashica) 는 1949년 일본 오사카에서 설립된 야시마 세이키(Yashima Seiki Company)에서 출발했습니다. 초기에는 전기 부품을 제조하던 회사였으나, 1953년부터 본격적으로 카메라 제작에 나서며 이름을 야시카(Yashica)로 변경하게 됩니다. 1950~60년대 일본 카메라 산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던 시기에 등장해서 중형 필름카메라, 35mm 카메라, TLR(이안 리플렉스), 전자식 자동카메라 등의 분야에서 혁신적인 제품들을 선보이며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특히 독일 콘탁스(Contax) 브랜드와 협력하면서 기술력과 광학 품질이 한층 더 향상되는 계기가 되기도 합니다. Yashica 635는  120 중형 필름과 함께 35mm 필름까지 사용할 수 있는 독특한 모델입니다. 야시카 카메라의 특징 야시카는 라이카나 니콘처럼 최고급 시장을 타겟으로 한 브랜드는 아니었지만, 그만큼 대중성과 실용성에서 큰 강점을 지녔습니다. 요즘에도 "가난한 자의 라이카" 라고 불릴 정도로 광학적 성능은 결코 무시할 수 있는 수준으로 인정이 되고 있습니다. 경제성과 품질의 균형: 합리적인 가격대에도 불구하고 정밀한 기계식 셔터, 뛰어난 렌즈 품질을 제공해 초보자부터 전문가까지 널리 사용했습니다. 혁신적인 전자기술 도입: 1970년대 이후 전자식 노출계, 오토포커스, 프로그램 모드 등 전자 기술을 적극 도입하며 자동화 흐름을 선도했습니다. 콘탁스와의 제휴: 독일의 명문 브랜드 콘탁스와 제휴하며 칼자이스 렌즈를 탑재한 고성능 모델도 다수 출시했습니다. 야시카는 1983...

M42렌즈의 매력에 빠지다. 디지털 카메라와의 이종교배

이미지
 필름카메라를 이용한다면 올드렌즈에도 관심이 많을 듯합니다. 올드렌즈 중에서도 M42마운트의 렌즈 중에는 우수한 렌즈들이 많이 있습니다. 보케(Bokeh)가 화려하면서 콘트라스트가 뛰어난 특징을 가지며 여러 카메라 브랜드와도  호환성이 좋은 편입니다. 나사산(스크루) 방식의 이 마운트는 20세기 중반 다양한 제조사에서 채택하며 전성기를 누렸으며, 현재까지도 수많은 필름카메라 이용자들 사이에서 꾸준하게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특히 디지털카메라에 변환 어댑터로 장착해 사용하는 "이종교배" 방식은 색다른 재미와 독특한 표현력을 선사해주고 있습니다. M42 마운트의 올드렌즈들은 대체로 진득한 색감에 보케가 화려한 편입니다. M42 마운트란? M42는 지름이 42mm의 나사산 방식으로 만들어진 렌즈 마운트입니다. 주로 초기의 펜탁스(Pentax), 제니스(Zenit), 프락티카(Praktica) 등의 카메라에 사용되었으며, 단순한 구조 덕분에 다양한 카메라 브랜드와 호환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어댑터만 있다면 캐논, 소니, 후지필름 등의 미러리스 카메라에 손쉽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팔방미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M42 마운트 올드렌즈와 특징 1. Helios 44-2 58mm f/2 제조사: KMZ (러시아) 특징: 회오리 보케(swirl bokeh)로 유명 따뜻하고 붉은 기운이 도는 색감과 빈티지한 필름 느낌의 사진을 얻을수 있습니다. 콘트라스트가 낮은 편으로 소프트한 이미지 연출 가능하여 인물촬영 시 독특한 매력의 표현이 가능합니다. 저렴한 가격에도 불구하고 개성 있는 보케와 감성적인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2. Carl Zeiss Jena Flektogon 35mm f/2.4 제조사: Carl Zeiss (동독) 특징: 뛰어난 해상력과 최소 20cm의 짧은 최소 초점거리 자연스러우면서 뉴트럴한 색조를 보여주고  콘트라스트는 중간에서 약간 강한 편으로 도시 풍경이나 일상 스냅에 적합니다. 실용...

필름카메라 Vs 즉석카메라(폴라로이드) Vs 디지털카메라의 차이점 정리

이미지
필름카메라와 즉석카메라(폴라로이드), 디지털카메라의 차이점을 아시나요? 모든 카메라는 렌즈를 통해 빛을 카메라 내부로 받아들이면서부터 사진이 만들기 시작하게 됩니다. 카메라 내부에서 그 이미지를 어떻게 처리해서 기록하느냐에 따라서 디지털과 필름카메라로 구분이 된다고 할수 있습니다. 이제 막 카메라를 구입해서 사용하는 분들은 사진이 만들어지는 원리를 잘 알지 못하기에 디지털 카메라와 필름카메라의 차이점도 알기가 어렵습니다.  간단하게  사진이 만들어지는 원리와 디지털 카메라와 필름카메라 그리고 즉석카메라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사진의 원리 우선은 사진이 만들어지는 원리부터 조금 이해를 해야 합니다.  모든 사물은 고유한 색상을 갖고 있고 빛을 반사하게 됩니다. 이 반사된 빛이 카메라 렌즈를 통해 카메라 내부로 들어오게 됩니다. 렌즈는 빛을 모아서 하나의 상(이미지)을 형성해주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카메라 내부로 들어온 빛이 감광체에 닿으면서 사진이 만들어지는 됩니다.(사진이 기록) 여기서  감광체로 필름(화학반응으로 빛을 기록)이 들어가면 필름 카메라가 되고, 이미지센서(CMOS, CCD)가 들어가면 디지털 카메라가 됩니다. 누구나 갖고 다니는 스마폰에도 이미지 센서가 들어가 있기에 디지털 카메라의 일종이라 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즉석카메라는 필름 카메라와 같은 화학적 반응을 통해서 이미지를 처리하지만, 카메라에는 약품이 포함되어 있는 특수한 필름(인화지)이 들어가게 됩니다.  이 특수한 필름이 촬영과 동시에 카메라 밖으로 배출되면서 약품처리가 되어서 2-3분내로 사진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렌즈로 모아진 빛이 필름이나 이미지 센서를 통해서 사진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또한, 빛이 카메라로 들어오는 과정에서 렌즈의 조리개나 셔터스피드(셔터막)의 적절한 제어를 통해서 빛의 양을 조절하게 됩니다. 이렇게 촬영 환경과 촬영자의 의도에 따라서 원하는 만큼 제어를 한다면 자신이 원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