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지만 강한 명품 카메라 올림푸스


작고 콤팩트한 필름카메라, 올림푸스를 아시나요?
올림푸스는 1919년 일본 도쿄에서 내시경 및 정밀 광학 기기 전문 기업으로 시작했습니다. 광학의 명가로 불리며 의료기기 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술력을 확보했고, 이를 바탕으로 1936년 일본 최초의 고급 카메라 세미 올림푸스를 출시하면서 사진 산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듭니다.
1950~60년대에는 PEN 시리즈, 1970년대에는 OM 시리즈, 1980년대에는 콤팩트 필름카메라 XA 시리즈 등으로 대중성과 기술력을 동시에 인정받으면서 "작지만 강한 카메라"라는 브랜드 이미지를 확립하게 됩니다.

올림푸스의 철학 – 작고 가볍우면서 완벽하게


올림푸스는 컴팩트화, 경량화, 고정밀을 핵심 철학으로 삼고 있습니다. 특히 다른 브랜드들이 무겁고 커다란 SLR(일안 리플렉스) 카메라를 경쟁적으로 출시하던 시대에도, 올림푸스는 작고 효율적인 디자인에 집중했습니다. OM 시리즈는 세계에서 가장 작고 가벼운 35mm SLR 시스템을 목표로 개발되었고, PEN 시리즈는 하프프레임 포맷을 통해 사진을 ‘2배로’ 찍을 수 있는 효율성을 보여주었습니다.
올림푸스는 "누구나 부담 없이 들고 다니며 사진을 즐길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을 꾸준히 지켜온 브랜드입니다.

올림푸스펜FT
올림푸스 모델중에서도 획기적인 디자인과 기능을 자랑하는 Olympus Pen FT


올림푸스 카메라의 장점과 단점


올림푸스 필름카메라의 가장 큰 특징이자 장점은 작고 가볍다는 것입니다. 작고 콤팩트하면서도 세련된 미니멀한 디자인으로 여행용이나 일상생활에서 스냅용으로 최적의 카메라입니다. 올림푸스 Pen ee의 경우 10Cm 정도의 작은 크기로 70~90년대 수학여행 카메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뛰어난 바디의 완성도에 Zuiko(즈이코) 렌즈만의  뛰어난 해상력과 발색은 모든 이용자가 만족하는 사진의 결과물을 보장해 줍니다. 
장점이 많은 올림푸스였지만, XA 시리즈 등의 후기 모델들에게서 고장이 잦은 편이었고 부품 생산이 종료되면서 일부 모델은 수리가 불가능하거나 수리 난이도가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현재 중고거래 시장에서의 올림푸스는 캐논이나 니콘, 라이카에 비해 인지도가 떨어지고 시세가 낮은 편에 속합니다. 단점으로 보기에는 올림푸스만의 콤팩트한 디자인과 Zuiko렌즈의 발색은 수준급에 속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올림푸스 필름카메라 5종


1. Olympus PEN FT (1966)

올림푸스 모델중에서도 획기적인 디자인과 기능을 자랑하는 모델로써 작고 단단하면서 SLR의 기능을 담아낸 명기 중 하나입니다. 
  • 포맷 : 35mm 하프프레임 (18x24mm)
  • 마운트 : Olympus PEN F 마운트 (고유 마운트)
  • 셔터 방식 : 수직 이동식 금속 포컬플레인 셔터
  • 셔터 속도 : 1초 ~ 1/500초, B(벌브) 포함
  • 측광 방식 : TTL (Through-The-Lens) 노출계 내장 – 셀레늄 방식 아님, CdS 사용
  • 노출 조절 : 수동 노출 + 내장 노출계(뷰파인더 내 표시)
  • 뷰파인더 : 펜타프리즘이 없는 고유 방식 뷰파인더 (아이레벨 SLR)
  • 필름 감도 : 설정 (ISO) ISO 25 ~ 400
  • 호환 렌즈 :  Zuiko Auto-S 40mm F1.4, 38mm F1.8, 100mm F3.5 등 다수

2. Olympus OM-1 (1972)

세계에서 가장 작은 SLR로 당시 센세이션을 일으킨 모델입니다. 기계식 셔터와 밝고 넓은 파인더, 조용한 셔터음으로 프로 유저부터 초보자까지 모두에게 사랑받은 전설적 모델이라 할 수 있습니다.
  • 필름 : 포맷 35mm 필름 (24x36mm 풀프레임)
  • 마운트 : Olympus OM 마운트
  • 셔터 방식 : 기계식 수직주행 포컬플레인 셔터
  • 셔터 속도 : 1초 ~ 1/1000초, Bulb
  • 측광 방식 : TTL 중앙중점 평균 측광 (CdS 셀, 1.35V 수은전지 사용)
  • 뷰파인더 : 펜타프리즘 방식 SLR 뷰파인더, 약 97% 시야율, 약 0.92배 배율
  • 파인더 표시 : 노출계 바늘 표시 방식
  • 필름 감도 : (ISO) ISO 25 ~ 1600
  • 플래시 동조 : 핫슈 및 PC 소켓 제공, X 동조 1/60초
  • 전원 : 노출계 작동용 수은전지 (1.35V PX625 또는 대체 배터리)
  • 렌즈 : OM 마운트의 Zuiko렌즈

3. Olympus OM-2 (1975)

OM-1의 후속 모델로 전자식 노출 제어 시스템을 탑재하고 TTL 측광 방식의 정확성과 OM-1의 기계적 감성의 결합된 모델입니다. 
  • 필름 포맷 : 35mm 필름 (24×36mm)
  • 마운트 : Olympus OM 마운트
  • 셔터 방식 : 전자식 수직주행 포컬플레인 셔터
  • 셔터 속도 : 1초 ~ 1/1000초 (기계식 백업 1/60초 포함), B
  • 노출 방식 : 조리개 우선 자동노출 (Aperture Priority AE), 수동 노출
  • 측광 방식 : TTL 직접측광 (필름면 반사광 측정), 중앙중점 평균 측광
  • 노출계 : 파인더 내 바늘식 노출계
  • ISO 감도 : ISO 25 ~ 1600
  • 뷰파인더 : 펜타프리즘 SLR, 약 97% 시야율, 0.92배 배율
  • 전원 : 2× SR44 또는 LR44 (1.5V 버튼형 배터리)
  • 플래시 동조 : 핫슈 + PC 소켓 지원, X 동조 1/60초
  • 기계식 백업 셔터 있음 (1/60초로 작동)
  • 세계 최초 필름면 TTL 실시간 측광
  • 렌즈 : OM 마운트의 Zuiko렌즈

4. Olympus XA (1979)

세계 최초의 범용 휴대용 RF카메라로 조리개 우선방식의 자동노출이 가능하고  Zuiko 35mm F2.8 렌즈 탑재하여 스냅과 일상용 카메라로 인기를 끌었으며 지금도 중고시장에서 인기 있는 자동필름카메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카메라 유형 : 35mm 컴팩트 거리계식 카메라 (Rangefinder)
  • 필름 포맷 : 35mm 필름 (24 ×36mm 풀프레임)
  • 렌즈 : Zuiko 35mm F2.8 (4군 6매)
  • 최소 초점 거리 0.85m
  • 조리개 범위 : F2.8 ~ F22 (수동 설정)
  • 셔터 방식 : 전자식 프로그램 셔터
  • 셔터 속도 : 10초 ~ 1/500초 (자동)
  • 노출 방식 조리개 우선 자동노출 (Aperture Priority AE)
  • 노출 보정 : ±1.5 EV
  • 측광 방식 : TTL 중앙중점 측광 (CdS 센서)
  • ISO 감도 :  ISO 25 ~ 800
  • 플래시 외장 플래시 사용 가능 (A11, A16 등 전용 플래시 연결)
  • 전원 : 2× SR44 또는 LR44 (1.5V 버튼전지)

5. Olympus µ(뮤) (1997)

자동초점 컴팩트카메라의 명작으로 뛰어난 렌즈 성능과 날씨에 강한 방진설계로 현재도 최고의 일상용 필름카메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 필름 포맷 : 35mm 필름 (24×36mm)
  • 렌즈 : Olympus 35mm F3.5 (3군 3매 구성)
  • 초점 방식 : 자동 초점 (AF, 적외선 거리 측정)
  • 최단 촬영 거리 : 약 0.35m
  • 조리개 : F3.5 고정
  • 셔터 속도 : 1/15초 ~ 1/500초 (자동)
  • 노출 방식 : 자동 노출 (프로그램 AE)
  • 플래시 내장형, 자동/적목감소/야경/강제/OFF 모드 지원
  • ISO 설정 : DX 코딩 자동 인식 (ISO 50~3200)
  • 파인더 : 광학 뷰파인더 (AF 프레임 표시)
  • 전원 : CR123A 1개

최근 레트로 감성과 필름카메라 복각 붐과 함께 올림푸스는 재조명받고 있습니다. 작고 휴대성이 좋으면서 클래식한 다자인으로 여성 유저들과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OM-1, XA, PEN 시리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편입니다. 작고 세련된 디자인, 직관적인 조작, 그리고 놀라운 이미지 품질이 현대의 라이프스타일에도 여전히 유효하기 때문입니다. 디지털 시대에 오히려 아날로그 감성을 추구하는 이들에게 올림푸스는 최고의 카메라가 될 수 있습니다.

이 블로그에서 많이 본 글

대구 팔공산 갓바위의 조형미와 가는길(경산방면)

코닥과 후지필름의 종류와 색감 사용환경 비교

서울과 대구 전국의 필름카메라 현상소(디지털 스캔과 사진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