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미야 RB67, 손맛으로 찍는 중형카메라의 매력

이미지
디지털 시대에도 여전히 사랑받는 중형 필름카메라가 있습니다. 존재감이 남다른 마미야 RB67은 묵직한 외형과 수동의 손맛, 그리고 독보적인 해상력으로 많은 전문 사진작가와 상업적 사진가로부터 사랑을 받아온 기종입니다. 1980-90년대 대표적인 예식장의 원판 사진기로 활용되었고, 동네 사진관에 가면 어김없이 마미야 RB67이 메인 카메라로 스튜디오에 놓여 있었습니다. 중형카메라로써의 마미야 RB67에 대해서 여러 가지를 알아볼까 합니다.  RB67은 웅장한 아날로그적 셔터소리와 모듈식의 악세사리가 최대 장점입니다. 마미야 RB67의 기본 정보 RB67은 기본 6x7cm 포맷의 필름백을 사용하고 그 이름처럼 필름백을 회전시켜 세로사진과 가로사진을 쉽게 전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점이 당시에는 매우 혁신적이었고 지금도 실사용자들에게 큰 장점으로 평가됩니다 출시년도: 1970년 제조사: 일본 마미야(Mamiya) 포맷: 120 중형 필름 (6x7cm 포맷) 셔터 방식: 렌즈 셔터(Leaf Shutter) 포커싱 방식: 벨로우즈 방식의 수동 포커싱 필름백 교환 가능 – 한 카메라 바디에 흑백, 컬러, 슬라이드 필름을 자유롭게 장착 가능 Revolving Back (회전하는 필름백)외 폴라로이드 백의 장착 가능 중형필름 외에도 폴라로이드사의 고품질 FP-100 즉석 필름(필름백)과 마미야의 렌즈색감이 만나 훌륭한 즉석 사진을 경험하는 건 마미야만의 즐거움이었습니다. 아쉽게도 지금은 폴라로이드 필름을 구할 수가 없습니다. (별도의 인스탁스 필름백을 구매해서 사용이 가능)   중형카메라로써의 가치 중형 필름카메라는 일반 35mm보다 큰 필름을 사용해 해상도와 묘사력이 탁월합니다. 특히 마미야 RB67은 6x7cm 포맷, 흔히 ‘이상적인 프레임비’라고 불릴 만큼 인화 시 안정감 있는 비율을 제공합니다. 놀라운 디테일 표현력: 대형 인화에서도 선명함 유지 입체감 있는 보케: 큰 필름과 고정밀 렌즈가 만들어내는 부드럽고 깊은 아웃포커싱...

입문자를 위한 필름카메라 기초 사용법

이미지
 필름카메라의 감성에 호기심을 느껴서 무작성 카메라부터 구입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셔터만 누르면 사진이 나오는 스마트폰이나 디지털카메라와 달리 필름카메라를 사용하려면 기본적인 사용방법과 사진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이해하는 게 필요합니다. 처음 필름카메라를 접하면 뭔가 복잡해 보이지만, 한 번 익숙해지면 생각보다 단순하기에 어렵지 않게 필름사진의 감성은 즐길 수가 있습니다.  1. 필름 고르기 필름카메라의 출발은 필름 선택에서부터 시작합니다. 사진의 분위기나 느낌은 카메라가 아닌 카메라 렌즈와 필름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본인의 취향에 맞는 필름을 구매하는게 좋습니다. 이제 막 필름카메라를 시작하는 과정이라면  코닥 골드 200이나 코닥 컬러플러스 200으로 구매하면 됩니다. 가장 저렴하고 일반적인 환경에서 무난하게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필름은 감도 200과 36장 짜리를 많이 사용합니다. 필름은 24장과 36장짜리가 판매되지만, 가격 차이가 크지 않기게 36장짜리 필름으로 구매합니다. 필름박스에 쓰여진 ISO 200, ISO 400, 800은 필름의 감도를 숫자로 적은 것입니다. ISO 숫자가 높을수록 어두운 곳에서도 촬영이 가능하지만 사진의 입자가 굵어지게 됩니다(노이즈). 반대로 숫자가 낮아지면 선명하고 깨끗한 사진을 얻게 되지만, 어두운 곳에서는 플래시를 사용해야 합니다.   ISO 100~200은 햇빛이 좋은 날이나 실외 촬영에 적당하고, 예식장이나 실내 카페는  ISO 400, 조명이 약한 카페나 실내라면 800-1600 정도를 사용합니다. 물론 플래시가 있다면  ISO 200으로도 충분히 촬영이 가능합니다.  2. 필름 넣기 필름이라는 것은 원기둥 형태의 매거진과 얇은 플라스틱에 약품처리가 되어 있는 필름으로 구성이 됩니다. 필름이 매거진속에 말려 있기에 롤필름이라고 하고, 매거진속에 있는 동안에는 필름이 빛에 노출이 되어도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매거진...

핫셀블라드에 인스탁스 필름백으로 사진을 찍어보자!

이미지
"기존 필름카메라를 유지하면서 인스탁스 필름으로 즉석 사진을 찍을 수 있다!" 핫셀블라드는 모듈형식의 120mm 중형필름을 사용하는 필름카메라이고, 120 필름백 대신에 여러 가지 백을 연결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이 가능한 카메라입니다. 대표적인게 디지털백과  폴라로이드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필름백을 활용한다면 조금 더 다양한 창작활동이 가능하면서 시각적 경험을 가능하게 해 줍니다. 그중에서 폴리로이드 백은 대부분의 중형 필름카메라(할셀의 경우 V 시스템 등)에 장착할 수 있는 즉석 필름용 백을 말합니다. 보통 핫셀블라드는 120 필름(롤필름)을 사용하는데, 이 폴라로이드 백을 장착하면 롤필름 대신 폴라로이드 필름을 사용해서 바로바로 사진 결과물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핫셀블라드 500C/M에 인스탁스 논스백을 장착하면 새로운 감성의 사진을 찍을 수 있습니다. 주로 중형필름카메라의 악세사리로 사용을 했던 폴라로이드 백은 디지털이 없던 시절에, 사진가들이 촬영 후 바로 결과물을 뽑아서 라이팅과 노출, 구도, 전체적인 사진의 느낌을 테스트할 때 아주 중요한 도구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폴라로이드 백을 사용하는 이유 핫셀블라드 V시스템에 사용하던 폴라백은  V시스템(500C/M, 503CW 등) 카메라에 맞춰져 있으며 연결부가 표준 핫셀블라드 필름백과 똑같아서 쉽게 교체가 가능합니다. 마치 필름을 교체하듯이 기존 롤필름백을 제거하고 폴라로이드백을 체결하면 간단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당시에는 폴라로이드사의 Type 100 시리즈 필름(예: Polaroid 669, Fuji FP-100C 등)을 사용했으며, 준수한 결과물을 출력해 주었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이 필름들이 단종되면서 중고 필름을 구해서...

대구근교 가볼만한 곳 비슬산 등산코스

이미지
대구 근교에서 아름다운 자연과 함께 힐링할 수 있는 산을 찾는다면 팔공산과 비슬산이 대표적입니다. 팔공산은 이 블로그에 관련 내용이 정리되어 있기에 비슬산에 대해서 자세하게 정리해 볼까 합니다. 비슬산 (1084m)은 경상북도 달성군과 청도군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으며 4월의 참꽃문화재로 유명한 아름다운 곳입니다. 봄의 참꽃축제와 가을 억새로 사계절 내내 등산객과 자연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는 곳입니다. 대견사 인근의 참꽃 군락지에서 보내는 봄날의 추억  비슬산은? 비슬이라는 이름은 ‘비파와 거문고처럼 부드러운 능선’을 의미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 이름처럼 산세가 험하지 않고 완만한 편이라 등산 초보자나 가족 단위 방문객에게도 부담 없는 산행 코스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반적인 등산객들은 유가사에서 천황봉을 거쳐 대견사 코스(약 10Km)를 많이 선택하며 가족단위라면 자연휴양림에서 대견사코스를, 나이드신 분들이나 어린이들은 셔틀버스(전기차)를 이용해서 천문대까지 올라갈 수가 있습니다.  비슬산은 특히 봄철이 되면 전국적인 명소가 됩니다. 바로 비슬산 참꽃 군락지 때문인데요, 매년 4월에서 5월 사이에 열리는 비슬산 참꽃문화제는  대견사 뒤편의 넓은 평원을 중심으로 온 산을 분홍빛으로 물들이면서 수많은 사진작가와 관광객들을 불러 모으고 있습니다.  봄: 4~5월경, 분홍빛 참꽃이 산을 뒤덮는 풍경은 정말 장관입니다. 산 위로 펼쳐진 참꽃 평원은 마치 동화 속 풍경처럼 몽환적이고 아름답습니다. 여름:  무더운 여름에도 비슬산은 계곡과 울창한 숲으로 비교적 시원한 편입니다. 계곡길과 나무그늘 아래를 걷는 산책은 도시의 열기를 식혀주는 최고의 피서가 됩니다. 가을: 가을에는 노란 은행잎과 붉은 단풍이 어우러진 산세가 펼쳐지며, 어느 방향을 봐도 그림 같은 풍경을 만날 수 있습니다. 겨울: 눈 내린 비슬산은 백설이 덮인 고요한 산사와 능선이 어우러진 설경으로 등산객들의 사랑을 받습니다. 비슬산의 주요 ...

작지만 강한 명품 카메라 올림푸스

이미지
작고 콤팩트한 필름카메라, 올림푸스를 아시나요? 올림푸스는 1919년 일본 도쿄에서 내시경 및 정밀 광학 기기 전문 기업으로 시작했습니다. 광학의 명가로 불리며 의료기기 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술력을 확보했고, 이를 바탕으로 1936년 일본 최초의 고급 카메라 세미 올림푸스를 출시하면서 사진 산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듭니다. 1950~60년대에는 PEN 시리즈, 1970년대에는 OM 시리즈, 1980년대에는 콤팩트 필름카메라 XA 시리즈 등으로 대중성과 기술력을 동시에 인정받으면서 "작지만 강한 카메라"라는 브랜드 이미지를 확립하게 됩니다. 올림푸스의 철학 – 작고 가볍우면서 완벽하게 올림푸스는 컴팩트화, 경량화, 고정밀을 핵심 철학으로 삼고 있습니다. 특히 다른 브랜드들이 무겁고 커다란 SLR(일안 리플렉스) 카메라를 경쟁적으로 출시하던 시대에도, 올림푸스는 작고 효율적인 디자인에 집중했습니다. OM 시리즈는 세계에서 가장 작고 가벼운 35mm SLR 시스템을 목표로 개발되었고, PEN 시리즈는 하프프레임 포맷을 통해 사진을 ‘2배로’ 찍을 수 있는 효율성을 보여주었습니다. 올림푸스는 "누구나 부담 없이 들고 다니며 사진을 즐길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을 꾸준히 지켜온 브랜드입니다. 올림푸스 모델중에서도 획기적인 디자인과 기능을 자랑하는 Olympus Pen FT 올림푸스 카메라의 장점과 단점 올림푸스 필름카메라의 가장 큰 특징이자 장점은 작고 가볍다는 것입니다. 작고 콤팩트하면서도 세련된 미니멀한 디자인으로 여행용이나 일상생활에서 스냅용으로 최적의 카메라입니다. 올림푸스 Pen ee의 경우 10Cm 정도의 작은 크기로 70~90년대 수학여행 카메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뛰어난 바디의 완성도에 Zuiko(즈이코) 렌즈만의  뛰어난 해상력과 발색은 모든 이용자가 만족하는 사진의 결과물을 보장해 줍니다.  장점이 많은 올림푸스였지만, XA 시리즈 등의 후기 모델들에게서 고장이 잦은 편이었고 부품 생산이 종료되면서 일부 모델은 수리가...

월출산 등산코스와 볼거리 난이도 정리

이미지
  월출산은 전라남도 영암군에 위치한 해발 809m의 국립공원으로 국내에서 손꼽히는 기암괴석과 아름다운 산악 경관을 자랑합니다. 넓은 영암 평야의 중심에 작은 산 하나가 우뚝 솟아 오른 특이한 지형으로 1988년 제20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비교적 낮은 고도에도 불구하고 험준한 능선과 웅장한 암봉들이 펼쳐져 있어 "호남의 금강산" 또는 "미니 설악산"이라 불리며 많은 등산객과 여행객들의 사랑을 받고 있어요.  특히 3-4월에 등산을 간다면 천황사 주변으로 활짝 핀 벚꽃과 산 전체에 피는 참꽃과 동백이 떨어지는 소리를 듣는 즐거움도 등산으로만 느낄 수 있는 작은 선물이 될 듯합니다. 월출산 정상(천황봉)에서 구정봉 방향으로 보이는 능선과 영암평야 월출산의 매력 월출산은 "달이 뜨는 산"이라는 이름 그대로 고요하고 신비로운 분위기가 인상적인 산입니다. 드라마틱하게 솟아오른 바위 능선들과 맑은 계곡, 신령한 전설과 사찰들이 어우러져 자연과 문화가 공존하는 명산이라 할만합니다. 정상에서 내려다보는 서해와 영암평야의 전망은 그야말로 장관입니다. 날씨가 맑은 날엔 멀리 다도해와 목포까지 조망할 수 있어 산행의 보람을 더해줍니다. 가을이면 월출산의 대표 명물이라 할 수 있는 구름다리에서 올려보는 협곡과 암봉 사이의 단풍은 최고의 조망 포인트이며, 천황사 주차장에서 천왕사로 올라가는 벚꽃길은 최고의 가족 나들이 장소로 손색이 없습니다.     월출산은 아름다운 자연경관 외에도 다양한 국보와 보물, 그리고 사찰들이 자리한 역사문화의 보고입니다. 1).천황사 월출산의 서쪽의 천황봉 등산로 초입에 위치한 사찰로 산과 사람을 연결하는 따뜻한 공간입니다. 규모는 작지만 단아하고 조용하여  산행 전 기도를 하거나 쉬어가기 좋습니다. 천황봉이나 구름다리에서 내려다보면 사찰 전경이 한눈에 들어옵니다. 천황사를 지나면서부터 본격적인 등산이 시작되면서 이후 구름다리까지는 약 40분 정도 걸립니다. 정상까지 가지 않더라도 구름...

대중문화가 낳은 팝아트와 필름카메라의 만남

이미지
팝아트(Pop Art)는 1950년대 후반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등장한 현대미술의 한 사조로, "대중문화의 예술화"라는 개념 아래에서 발전했습니다. 기존의 순수미술이 추구했던 고급 예술과는 달리, 광고, 만화, 영화, 제품 포장 등 대중이 소비하는 이미지를 그대로 끌어들여 예술의 소재로 삼은 것이 특징입니다. 앤디 워홀(Andy Warhol), 로이 리히텐슈타인(Roy Lichtenstein), 리처드 해밀턴(Richard Hamilton) 등은 팝아트의 대표적인 작가들로 실크스크린 기법이나 대량생산 방식을 통해 반복성과 소비, 이미지의 복제를 주요 주제로 삼았습니다. 이들은 예술의 경계를 허물고 대중과 더 가까이 호흡하려는 시도를 예술에 담아내고 있습니다.  앤디 워홀이 사랑했던 폴라로이드 SX-70과 낸 골딘의 니콘EF 필름카메라와 팝아트, 시대정신을 담다 팝아트와 필름카메라는 겉보기에는 다른 영역처럼 보이지만, 20세기 중반이라는 같은 시대적 배경을 공유하며 깊은 관련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특히 팝아트가 등장하던 시기는 컬러 필름카메라의 대중화가 시작되던 시기로 시각문화의 대중화가 이루어지던 시점입니다. 필름카메라는 단순히 이미지를 기록하는 도구에서 "일상의 미학"을 포착하고 표현하는 매체로써 팝아트와 마찬가지로 대중적 소재와 접근 방식을 특징으로 합니다. 팝아트 작가들은 필름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를 캔버스에서 재가공하거나 광고사진과 유명 인물 사진을 그대로 차용해 자신의 작품에 담게 됩니다.  누구나 한 번쯤은 봤을거 같은 앤디 워홀의 대표작 마릴린 먼로(Marilyn Monroe)는 직접 필름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를 실크스크린 작업 과정을 통해 메릴린 먼로를 반복적으로 복제한 이미지 작품입니다. 이러한 점에서 필름카메라는 팝아트의 "복제"라는 미학적 개념을 실현시켜 주는 필수적 도구로 활용되었습니다. 팝아티스트가 애용한 필름카메라 아티스트들은 자신의 미학과 표현 방식에 최...

필름카메라 입문자를 위한 배려 미놀타 X-700

이미지
 미놀타 X-700은 필름 카메라 입문자들에게 가장 많이 추천되는 모델이라 할 수 있습니다. 카메라의 조작과 노출에 대한 이해가 없는 초보자들에게 미놀타의 다양한 촬영 옵션은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사진을 찍을 수 있게 해줍니다. 1981년 한국의 삼성과 일본의 미놀타가 힘을 합쳐 개발된 미놀타 X-700은 카메라 역사 속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40여 년이 지난 오늘날까지도 입문자와 취미생 그리고 사진 전공자들에게도 충분히 매력 있는 필름 카메라로써 미놀타의 다양한 기능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삼성과 미놀타의 공동 개발 1981년, 일본의 명문 광학기기 브랜드 미놀타(Minolta)는 자사의 마지막 수동 필름 일안 반사식 카메라로 X-700을 출시합니다. 그런데 이 모델의 생산에는 한국의 삼성정밀공업(현 삼성테크윈, 현재는 한화에 흡수)이 직접적으로 참여합니다. 당시 삼성은 전자기기 분야에서 막 도약을 시작하던 시기로, 정밀기계와 광학 기술력 확보를 위해 미놀타와의 협력을 추진했습니다. X-700은 일본에서 설계되고, 생산은 대부분 한국에서 진행되었으며 일부 후속 모델은 "삼성 X-700"이라는 표기로도 판매되었습니다. 카메라 전면에 별 3개가 그려진 카메라가 그 모델입니다. 미놀타 X-700은 P,A,M모드 촬영이 가능하고 밝은 뷰파인더로 촬영, 노출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협업은 단순한 제조 외주를 넘어, 한국이 고급 정밀 광학 기기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준 첫 사례로 기록됩니다. 필름 카메라 역사상 일본 외 국가가 고급 카메라 생산에 참여한 드문 사례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깊습니다. 미놀타 X-700의 주요 기능 X-700은 당시 미놀타가 가진 기술력을 총동원하여 만든 최상위 필름 카메라입니다. 자동 노출 기능과 P, A, M 촬영 모드와 이러한 정보를 뷰 파인더 내에 표시해 주면서 촬영자의 편의성에 중점을 둔 설계로 요즘 나오는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1. 촬영 모드 P 모드 (Prog...

해리포터 영화와 빈티지 감성의 만남 Argus C3의 매력

이미지
 Argus C3! "해리포터 카메라"로 알려진 전설적인 빈티지 카메라 빈티지 카메라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Argus C3는 단순히 오래된 필름카메라 그 이상의 의미가 있는 카메라입니다. 바로 해리포터 영화 시리즈에서 "콜린 크리비(Colin Creevey)"가 사용하는 마법사진기로 등장해 팬들에게는 해리포터 카메라로 알려지면서 중고마켓뿐 아니라 디자인적인 독창성으로 수집과 장식용으로 인기 있는 카메라입니다. 해리포터 속 카메라로서의 등장과 의미 해리포터 시리즈에서 Argus C3는 2학년 콜린 크리비가 들고 다니는 마법사진기로 등장합니다. 그는 해리의 사진을 찍으며 팬심을 드러내는 순수한 캐릭터로, 사진을 통해 마법 세계를 기록하려는 의지가 돋보이는 캐릭터입니다  영화에선 필름 사진이 움직이는 듯한 연출이 Argus C3의 아날로그 특성과 절묘하게 어우러지면서 마법 세계와 현실 세계를 연결하는 장치처럼 작용합니다. 이 카메라는 단순한 소품이 아닌, 콜린의 성격과 시선을 보여주는 도구로서 감정적, 서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마법의 세계와 현실세계를 이어주는 마법과과 같은 필름카메라 Argus C3 Argus C3는 당시 저렴하면서도 대량생산이 가능했던 카메라로, 20세기 중반 미국 중산층 가정에서 주로 사용했던 모델입니다. 해리포터의 시대 배경과는 다소 어긋날 수도 있지만, 디자인적 상징성과 빈티지함이 판타지 세계의 소품으로써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Argus C3 스펙 Argus C3의 가장 큰 특징이라면 누구도 흉내낼 수 없는 독특한 디지인입니다. 두꺼운 사각형의 기본 프레임을 사용하고 무겁고 단단한 외형 때문에 "벽돌 카메라(The Brick)"라는 애칭이 붙어 있습니다.  제조사: Argus Inc. (미국) 출시연도: 1939년 ~ 1966년까지 생산 포맷: 35mm 필름 렌즈: Cintar 50mm f/3.5 고정식 렌즈 (교체 가능) 셔터 속도: 1/10 ~ 1/3...

일회용 필름카메라로 실패하지 않는 인생사진 촬영법

이미지
일회용 필름카메라는 이름 그대로 한 번만 사용 가능한 카메라입니다. 새로운 필름을 넣거나 재사용이 어렵기에 처음 구입 시에 카메라 내부에 필름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촬영이 끝나면 되감기를 하지 않고 카메라 전체를 전문 현상소에 맡겨 현상해야 합니다. 디지털 사진과 달리 즉시 결과를 확인할 수 없지만, 그 "기다림"의 시간이 낭만으로 여겨지거나 재 사용이 안된다는 점이 일회용 카메라의 매력입니다. 일회용 카메라의 특징 20-40년 전에는 카메라를 갖고 있는 사람이 많지 않았습니다. 행사나 모임 그리고 여행시에 카메라를 구매하기는 경제적으로 많은 부담이 되었기에  간단하게 일회용 카메라를 많이 사용했습니다. 그런 추억들이 아직까지 일회용 카메라가 판매되고 있는 이유일 듯합니다. 요즘은 일회용처럼 생겼지만 재충전 가능한 필름 카메라도 등장하고 있어, 친환경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일회용 카메라는 적당한 촬영환경과 플래시를 활용해야만 좋은 사진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일회용 카메라는 단기간 사용을 전제로 제작된 제품이기 때문에, 전문 카메라에 비해 구조는 단순하고 내구성의 문제가 어느 정도 존재하고 있습니다.  바디 전체가 플라스틱이기 때문에 무게가 가볍고, 휴대성은 좋지만, 와인딩이나 셔터 작동이  부드럽지 않거나 반복 사용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장시간 보관 시에는 고온, 고습 환경을 피해야 하며, 특히 플래시 회로가 있는 모델은 배터리 누액 가능성도 있으므로 구매후에는 빠른 시간 내에 촬영하고 현상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1) 간편한 사용법 필름을 넣을  필요가 없고, 셔터와 필름 감기(와인더)버튼 그리고 플래시 버튼 정도만 있기에 조작이 매우 쉽습니다. 사진을 처음 접하는 사람도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밝기나 화이트 밸런스를 자동으로 맞추지 않기 때문에, 때때로...